선진국의 수입규제 현황과 대책
선진국의 수입규제 현황과 대책
분야 대외경제협력 대통령 전두환 생산기관 상공부
관리번호 1A00614174555533 생산일자 1984.05.16
키워드 수입규제, 반덤핑, 수량규제, 관세, 보조금 지원, 안보상 규제, GATT, 국제무역법 원문보기

1. 최근 수입규제의 특징

1) 반덤핑 등 가격적 규제 증가
이유: 수량규제의 경우 협상을 통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함. 최근 무역제한의 책임을 수출국에 전가하거나 특정 국가의 특정 품목을 차별적으로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 짐
2) 규제방법의 다양화
관세인하 및 수량규제의 경우 덤핑 및 보조금 지원과 상표도용, 특허권 침해 등 불공정 행위, 안보상 위해 등을 이유로 한 규제가 증가함
GATT 19건에 의한 규제보다는 자율규제 협정이 증가
품질규격, 기술적 제한, 수입서류의 자국어 사용, 관세 재분류 등 행정적 규제가 강화됨
3) 상호주의 및 쌍무주의 경향
미국의 상호주의법 제정 움직임
제2기 GSP 연장과 관련하여 선발 개도국에 시장개방 압력을 가함
미-이스라엘, 미-캐나다 무역협정 체결에 의한 무관세동맹, 미-아세안 관세동맹 체결
GATT 원칙에 반하는 보호주의법 제정 움직임
4) 대응무역의 증가
이유: 개도국은 국제수지 개선과 제품생산능력 재고를 이유로, 선진국은 주요원자재의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고 판매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대응무역을 증가시킴

3. 종합대책

1) 사전대처활동의 강화
정보수집망 보강
국제무역법 전문가 및 직업 교보요원 양성
규제유발 가능행위의 조정을 강화
2) 민간자율대처능력 제고
교육 및 홍보 강화
동종업계의 자율적 교보기능 강화
민간경제협력위원회 활성화
교보대상지역 및 접촉인사 보강
3) 조직적, 종합적 대처활동 전개
관민합동 통상교보 추진
올바른 경제인식 제고
GATT 등 국제통상기구 및 국제회의를 통한 적극적인 활동
수입을 통상교보 수단으로 활용
통상조직의 보강
4) 산업 정책적 대책 구축
품질 고급화 및 비규제 품목의 개발을 촉진
해외투자를 촉진
부품수출을 증대
선진국과의 합작투자 및 기술협력, 제3국으로의 공동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
수요 및 시장규모를 감안하여 산업을 조정

관련 기록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