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온기 ::: 대통령기록관 NEWSLETTER

2016년 6월제6호

인터뷰 - 기록물이 부활하는 곳, 보존·복원처리실 한상효 연구관을 만나다.

한상효 연구관님, 안녕하세요. 바쁘신 와중에도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관님께서는 현재 대통령기록물 보존복원이라는 업무를 하고 계시지요? 오늘은 “보존·복원처리” 업무에 대해 여러 독자님들께도 소개를 드리고 싶어서 이렇게 인터뷰를 청했습니다.

“보존·복원처리”는 어떤 업무인지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사람이 아프면 병원에서 진단을 받은 후 병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과 같이 대통령기록물도 생산된 뒤 시간이 지나면, 훼손되거나 변색되는 등 기록물에 이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기록물들은 병원에서 진료하는 것처럼 기록물의 상태점검을 통해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이상이 생긴 부분을 수리하거나 보강하여 오랫동안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록물 보존 복원처리입니다. 이러한 대통령기록물의 보존처리에 대한 것은 대통령기록물법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보존·복원처리의 예로는 산성화된 종이기록물 중성화하는 탈산, 생물학적 피해를 예방하고 진행을 막기 위한 소독 그리고 훼손된 기록물의 복원처리 등이 있습니다. 물론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은 종이기록물에 국한된 것이고, 기록물을 구성하는 매체에 따라 각기 다른 처리 방법들이 있습니다.
“보존·복원처리”가 이루어지는 절차를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시겠습니까?
우선 기록물의 상태에 대해서는 X선, 현미경 촬영 등 비파괴 검사를 통해서 상태를 진단하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진단 후에는 진단결과에 따라서 기록물의 상태에 맞게 보존 복원 처리 계획을 세우게 되는데, 이때 보존처리 전 상태를 기록으로 꼼꼼하게 남기게 됩니다. 보존·복원처리는 우리 대에서 일회적으로 이루어진 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후에 새로운 보존처리 방법이 나오거나 더 안정적인 소재가 개발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와 과거의 보존처리 방법에 대해 파악해서 더 나은 과학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훼손된 기록물을 보존·복원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런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기록물의 상태에 대해 기록한 후에는 기록물의 종류와 그 상태에 따라서 알맞는 방법을 선택해서 보존·복원처리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기본적으로 금속류는 부식방지처리가 이루어지고, 목재류는 습기에 따른 변형을 교정하고 방지하지 위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종이류는 중성화처리 및 훼손된 부분에 종이를 덧대는 배접처리 등의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곤충 등에 의한 생물학적 침해가 발생하였거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침해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소독처리를 하게 되지요. 보존처리가 끝난 후에는 보존안정성을 기하기 위해 기록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중성지로 만든 박스 등에 기록물을 보관하게 됩니다. 물론 보관은 외부의 온도나 수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온·항습이 되는 서고에 넣고 관리하게 됩니다. 또한 기록물의 안전한 보존과 정수점검 등 효율적으로 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해 RFID 태그를 붙이는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지금까지 “보존·복원처리”를 거친 기록물의 양은 얼마나 되고, 어떤 기록물들이 있었나요?
지금까지는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하고 있는 기록물 중 보존처리가 완료된 기록물의 양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 세종 독립청사로 이전하기 전에는 서울기록관 청사에 입주해 있었습니다. 당시 보존·복원처리실은 기초수선실 50㎡정도만 배정되어 있었고, 시설이나 장비가 거의 전무한 상황이어서 기초적인 상태점검을 주로 하고 보존처리는 외주위탁을 통해서 일부 이루지는 형편이었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인 탈산, 소독처리는 국가기록원 본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15년 11월 세종 독립청사로 옮기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보존·복원처리실

세종 독립청사로 이전하면서 보존·복원처리실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하셨는데 어떠한 변화를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작년 11월, 세종 독립청사로 이전하면서 1,900만 건에 달하는 기록물의 이관이 완료가 되었고요, 보존·복원처리실 공간도 예전의 50㎡에서 2,050㎡로 대폭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또한 장비도 198종 334대가 새로이 갖추어져서 대통령기록관도 독자적인 보존·복원처리가 가능하도록 기반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현재 보존중인 대통령기록물은 물론 이후에 이관되는 기록물도 자체적으로 보존·복원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보존·복원은 기록물을 되살려내는 정말 중요하고 재미있는 업무일 것 같은데요, 이 일은 어떤 분들이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보존·복원처리를 하시는 분들의 직렬은 크게 공업연구직과 학예연구직으로 나누어집니다. 공업연구직에 계신 분들은 주로 화학이나 화학공학, 물리학을 전공하신 분들과 전자기록물과 관련해서는 전산을 전공하신 분들이 주로 계십니다. 학예연구직은 문화재보존학 관련 분야를 전공하신 분들이 주로 들어오시는데요, 어느 쪽이든 기록물에 대한 애정과 책임의식, 섬세함이 요구되지요.
대통령기록물 보존·복원에 대해 많은 걸 배웠는데요, 향후 기록물 보존에 있어 조언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
‘기록은 역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역사의 온전한 보존을 위해서는 기록의 보존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부언해보면, 기록의 보존 자체가 후손들에게 과거를 확인할 수 있는 증거물을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정체성을 계승하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국민 여러분과 보존·복원에 뜻을 가진 학생 분들이 생각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인터뷰를 통해 기록물을 복원하고 보존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기록물을 후대에까지 온전히 전해주기 위해 이런 노력이 필요한 줄은 몰랐는데요, 앞으로도 소중한 기록물을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애써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오랜 시간 인터뷰에 성심껏 응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