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우주개발 정책은 1993년 마련된 「21세기에 대비한 항공우주사업의 육성방안」이 처음이다. 이 계획은 항공우주산업을 육성하여 저궤도 위성기술을 다목적 용도로 개발함으로써 선진 우주산업 대열에 참여한다는 목표 등을 담았다. </p><br/> 이어 1996년에 작성된 「우주개발중장기 기본계획」 은 향후 20년간 4조 8천 억을 투자하고 4천 명(위성체분야 2,500명, 발사체 500명, 우주이용분야 1,000명)의 전문 인력을 투입하여 2010년까지 국내 기술에 의한 저궤도위성 및 발사체 개발, 2015년까지 총 19기의 인공위성 개발·발사하여 우주산업 세계 10위권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p><br/> 2000년대에 들어서는 우리 땅에서 우리 발사체로 달탐사 위성을 자력 발사하기 위한 달 탐사위성을 개발하여 위성 및 우주발사체의 핵심기술을 보유한 세계 7위권의 우주강국 도약으로 목표를 삼았다.(「7대 우주강국 요약」, 2008) </p><br/>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btnMore").on("click",function(ev){ ev.preventDefault(); $("#hdiv").toggle(300);}); $("#hdiv").hide(); }); </script> <a class="button size2 color1 invert" id="btnMore" href="return false">더보기</a> <div id='hdiv'> 나로호 개발 과정은 「나로호 개발사업 보고」에 상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보고서에는 한·러 기술협력 배경 및 성과, 특히 실패 원인규명 쟁점사항과 이를 바탕으로 세운 개선·보완 계획이 첨부되어 있다. 이외 발사윈도우, 우주물체와의 충돌가능성, 위성이 궤도 진입 시 태양 전지판이 향하는 방향을 고려한 나로호 3차 발사일과 발사시각을 결정한 보고서( 「나로호 3차 발사 재추진(3차) 예정일 확정 보고」) 도 있다. </p><br/> 나로호 성공 후 누리호의 개발 계획인 「한국형발사체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에는 2010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3단계로 나눠 1조 9,572억 원을 투자하여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발사체 및 우주발사체를 개발한다는 계획이 담겨있다. </p><br/> 한국 최초의 우주인 배출 관련 기록도 있다. 「한국우주인 배출사업 관련」은 2008년 4월(예정) 러시아 소유즈호에 탑승하여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 후 지상과 교신 및 과학임무(무중력 상태에서 물리적 반응 등 실험)를 수행할 후보 선발 계획이다. 정부는 우주인 배출 후 과학기술에 대한 호감도와 청소년의 이공계 전공 선호도가 대폭 상승 하는 등 우주인 사업이 투자대비 획기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우주개발을 포함한 과학기술투자 홍보에 적극 활용코자 하였다.( 「우주인 관리 후속대책」, 「우주인사업에 의한 국민의식변화」) </p><br/> 이밖에도 1998년부터 5년간 개발한 국내 최초의 우주과학실혐용 과학기술위성, 2005년 우주개발진흥법이 발효됨에 따라 설치된 우주위원회, 국내 개발 발사체를 자력발사하기 위한 우주센터 건립 등과 관련한 기록물을 볼 수 있다. </p><br/> 이번에 공개하는 우주개발 관련한 기록물을 통해 지난 30여 년간의 우주개발의 여정과 성과를 확인하고 무한한 가능성의 우주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기를 기대한다. </p> </div>